행복공장의 작은 방 하나하나를 바깥 세상과 연결하는 유일한 것은 문의 먹이구멍 뿐입니다.
이러한 감방은 식료품 저장실보다 크지 않기 때문에 내부에는 휴대전화나 노트북을 소지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으며, 이곳에 있는 사람들은 맨 벽만을 보며 지냅니다.
거주자들은 파란색 교도소 옷을 입을 수 있지만 그들은 수감자가 아닙니다. 그들은 "감금 경험"을 위해 한국의 센터에 왔습니다.
여기 사람들의 대부분은 사회에서 완전히 고립된 자녀를 두고 있으며, 세상과 단절된 것이 어떤 것인지 스스로 깨닫게 되었습니다.
독방 감금
이런 주민들의 자녀들과 같은 은둔형 청소년들을 '히키코모리'라고 부릅니다. 이는 1990년대 일본에서 청소년과 젊은 성인들의 극심한 사회적 고립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만들어진 용어입니다.
작년에 보건복지부가 19~34세 청년 15,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5% 이상이 스스로를 격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것이 남한 전체 인구를 대표한다면, 약 54만 명이 같은 상황에 처해 있다는 뜻입니다.
4월부터 부모들은 한국청소년재단과 블루웨일 회복센터 등 비정부기구(NGO)가 자금을 지원하고 운영하는 13주간의 부모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 계획의 목적은 사람들에게 자녀와 더 잘 소통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것입니다.
이 프로그램은 강원도 홍천군에 위치한 시설에서 3일간 진행되는데, 참가자들은 독방을 재현한 방에서 시간을 보냅니다.
격리를 통해 부모는 자녀를 더 깊이 이해할 수 있게 되기를 바랍니다.
'감정의 감옥'
진영해 씨의 아들은 3년째 자신의 침실에서 격리 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진 씨(가명)는 자신이 격리 생활을 한 뒤로 24살 딸의 "감정적 감옥"을 조금 더 잘 이해하게 됐습니다.
"제가 무엇을 잘못했는지 궁금했어요... 생각하면 너무 괴롭습니다." 50세의 그는 말한다.
"하지만 반성하기 시작하면서 좀 더 명확해졌어요."
말하기를 꺼려하다
진 씨는 아들은 항상 재능이 있었고 그녀와 그의 아버지는 그에게 큰 기대를 걸었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그는 종종 아팠고, 친구 관계를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으며, 결국 섭식장애까지 생겨서 학교에 다니기 힘들게 되었습니다.
그녀의 아들이 대학에 진학하기 시작했을 때, 한 학기 동안은 잘 해내는 듯했지만, 어느 날 그는 완전히 중도에 포기하고 말았습니다.
그가 개인 위생과 식사를 소홀히 한 채 방에 갇혀 있는 것을 보고 그녀는 가슴이 아팠습니다.
하지만 불안, 가족 및 친구와의 관계에서의 어려움, 명문 대학에 합격하지 못한 것에 대한 실망 등이 그녀의 아들에게 영향을 미쳤을지 몰라도, 그는 무엇이 진짜 문제인지 그녀에게 이야기하기를 꺼려합니다.

진 씨는 행복공장에 와서 다른 고립된 청소년들이 쓴 글을 읽었습니다.
"그 메모를 읽으면서 '아, 그는 아무도 그를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침묵으로 자신을 보호하고 있구나'라는 걸 깨달았어요."라고 그녀는 말합니다.
박한실(가명)씨는 7년 전 외부와의 모든 소통을 끊은 26살 아들을 위해 이곳을 찾았습니다.
그는 몇 번이나 집을 뛰쳐나갔지만, 이제는 방에서 나오는 일이 거의 없습니다.
박 여사는 아들을 상담사와 병원에 데려갔지만, 그녀의 아들은 처방받은 정신 건강 약을 먹기를 거부하고 비디오 게임에 집착했습니다.
대인관계
박 씨는 아직도 아들에게 다가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격리 프로그램을 통해 아들의 감정을 더 잘 이해하기 시작했습니다.
"저는 아이를 특정 틀에 갇히게 하지 않고 아이의 삶을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라고 그녀는 말합니다.
한국 보건복지부의 조사에 따르면, 젊은이들이 자기 자신을 단절하게 만드는 데에는 다양한 요인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9~34세를 대상으로 한 보건복지부 조사에 따르면 가장 흔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취업에 어려움(24.1%)
- 대인관계 문제(23.5%)
- 가족 문제(12.4%)
- 건강 문제(12.4%)
대한민국은 세계에서 자살률이 가장 높은 나라 중 하나이며, 작년에 정부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5개년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장관들은 2년마다 20~34세를 대상으로 국가 자금 지원으로 정신 건강 검진을 실시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일본에서는 1990년대에 처음으로 젊은 세대가 스스로를 고립시키는 현상이 나타났고, 이로 인해 중년층이 노령 부모에게 의존하는 사회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연금만으로 성인 자녀를 부양하려고 하다 보니 일부 노인들은 빈곤과 우울증에 빠지게 되었습니다.
경희대 사회학과 정고운 교수는 한국 사회가 인생의 중요한 이정표를 정해진 시기에 달성해야 한다고 기대하는 것이 젊은이들의 불안을 증폭시킨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경기 침체와 저취업 시대에 더욱 그렇습니다.
자녀의 성취가 곧 부모의 성공이라는 관점은 온 가족을 고립의 늪으로 빠지게 만듭니다.
그리고 많은 부모들은 자녀가 어려움을 겪는 것을 양육의 실패로 여겨 죄책감을 느낍니다.
정 교수는 "한국에서는 부모가 말로 표현하기보다는 실제적인 행동과 역할을 통해 사랑과 감정을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부모가 열심히 일해 자녀의 학비를 충당하는 것은 책임을 강조하는 유교 문화의 전형적인 예입니다.”
근면함을 강조하는 이런 문화는 21세기 후반에 한국이 세계 주요 경제 대국으로 부상하면서 급속한 경제 성장을 이룬 것을 반영하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세계 불평등 데이터베이스 에 따르면 , 이 나라의 부의 불평등은 지난 30년 동안 심화되었습니다.

블루 웨일 회복 센터장인 김옥란은 자가 격리하는 청소년을 "가족 문제"로 보는 관점 때문에 많은 부모가 주변 사람들과도 관계를 끊게 된다고 말합니다.
그리고 어떤 사람들은 판단받는 것이 너무 두려워서 가까운 가족에게도 자신의 상황에 대해 이야기하지 못합니다.
"그들은 문제를 공개적으로 제기할 수 없어서 부모 자신도 고립되는 결과를 초래합니다."라고 김 씨는 말합니다.
“그들은 휴일 동안 가족 모임에 참석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감시하다'
행복공장에 도움을 요청하신 부모들은 자녀들이 정상적인 삶으로 돌아갈 날을 간절히 기다리고 계십니다.
아들이 격리에서 나온다면 무슨 말을 할 것인지 묻자, 진 씨의 눈은 눈물로 가득 찼다.
"당신은 정말 많은 것을 겪었어요." 그녀는 떨리는 목소리로 말한다.
"힘들었죠?
"내가 당신을 지켜볼게."
'소식 > 국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치가 한국에서 대량 질병의 원인으로 지목돼 (0) | 2024.07.09 |
---|---|
삼성, 이익 1400% 이상 증가 예상 (0) | 2024.07.06 |
세븐틴: 영국 페스티벌에서 역사를 만들 K팝 밴드 (1) | 2024.06.25 |
거물은 기록적인 이혼 판결로 10억 달러를 지불하라는 말을 들었다 (0) | 2024.05.31 |
한국, 틱톡 금지, 김정은 '우상화' (2) | 2024.05.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