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실제 인어'가 말랄라에게 수영을 배우고 싶게 만든 이유

누군가 인어가 실제로 존재한다고 말한다면?
물고기 꼬리는 잊어버리세요. 우리가 말하는 건 하루에 수백 번씩 바닷속으로 다이빙을 하면서 몇 분 동안 숨을 참을 수 있는 여성들입니다.
이들은 한국의 해녀로, 제주도 출신의 여성 공동체로 수세기 동안 산소 없이 자유롭게 잠수하여 해산물을 채취해 왔습니다.
현재 대부분이 60, 70, 80대가 되면서, 이 직업을 선택하는 젊은 여성이 줄어들고 바다가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변할 가능성이 있어 전통과 삶의 방식이 위험에 처해 있습니다.
이런 사실 때문에 미국-한국계 영화감독 수 킴은 여성 교육 운동가이자 노벨 평화상 수상자인 말랄라 유사파자이와 팀을 이뤄 전 세계와 이야기를 공유하게 되었습니다.
한국 이민자의 딸이자 미국 태생의 김 씨는 어린 시절 한국에서 휴가를 보내면서 해녀를 처음 만났습니다.
"저는 영화에서 보는 것과 같은 이유로 그들에게 큰 충격을 받았습니다. 그들은 정말 대담하고 활기차고 자신감이 넘쳤습니다. 그들은 또한 정말 시끄럽고... 싸우고 웃으며, 그들은 그저 매우 큰 에너지를 발산하고 그들의 공간을 아주 거침없이 차지했습니다."라고 Lee는 말합니다.
"저는 어렸을 때 그 전체적인 분위기와 큰 에너지에 반해버렸어요. 그래서 저는 그들에게 매료되어 자랐어요. 그들은 제가 영감을 받고 본받고 싶었던 한국 여성성의 한 버전이었어요." 그녀는 덧붙여 말했습니다.
"저는 많은 사람들이 몰랐던 해녀에 대해 전혀 몰랐다는 사실에 너무 충격을 받았고, 바로 참여하겠다고 했습니다."라고 영화 제작자인 말랄라가 설명했습니다.

"이 이야기는 10년 전쯤에 해녀의 마지막 세대일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을 때 정말 시급해졌습니다."라고 이 씨는 설명합니다. "누군가가 기록하도록 하는 것이 더 시급한 임무가 되었습니다... 우리가 아직 그들을 가지고 있고, 그들이 여전히 자신의 말로 자신의 이야기를 우리에게 말할 수 있는 동안."
이 영화는 수확기 동안 힘든 일을 하는 여성들을 따라가며 그들이 물 속과 물 밖에서 직면하는 어려움을 살펴본다.
그들은 매일 오전 6시에 다이빙을 하러 나갑니다. 그들은 몇 분 동안 숨을 참았다가 다시 수면으로 올라와서 다시 내려갑니다. 세션당 100~300회입니다.
체력 수준을 상상해 보세요. 그들은 4시간 동안 수확하고 그다음 3~4시간 동안 껍질을 벗기고 잡은 것을 준비하는 데 보냅니다.
여성이 수년 전에 전통적으로 남성이 맡았던 이 직업을 대체하기 시작한 이유에 대한 다양한 이론이 있습니다. Visit Jeju 웹사이트에 따르면, 보트 낚시를 하다가 거친 바다에서 죽는 사람이 많았기 때문에 인구 전체에서 남성의 수가 적었다고 합니다.
그러다 보니 바다에서 작물을 캐는 남자가 많지 않게 되었고, 점차 여성이 그 일을 맡게 되었습니다.
'슬픈 할머니 트로프'
이것은 해녀를 다룬 최초의 주요 다큐멘터리이고, 김씨는 접근하기가 어려웠다고 말한다.
"해녀 공동체는 매우 폐쇄적입니다."라고 그녀는 설명합니다.
"그들은 어촌에 사는 농촌 공동체입니다. 그들은 제주도의 도시와 크게 교류하지 않습니다."
김씨는 NGO와 관련된 경력이 있고 지역 사회와 교류가 있는 연구원을 찾았습니다.
"그래서 이 여성이... 우리를 소개했고, 그러고 나서 저는 내려가서 기본적으로... 해녀 커뮤니티와 함께 2주를 보냈고, 그들의 신뢰를 얻었습니다. 그리고 저는 주로 경청함으로써 그렇게 했습니다.
"그들은 실제로 자신에게 일어나는 모든 일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어했습니다.
"그들은 자신들이 멸종 직전이라는 사실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어했습니다. 그들은 아무도 알지 못하고 신경 쓰지 않는 바다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어했습니다."
김씨는 노년에도 일하는 여성들에게 고정관념을 갖거나 불쌍히 여기지 않겠다고 안심시켜야 했다고 말한다.
"그들은 일하는 걸 좋아해요! 그들은 그렇게 함으로써 자신이 매우 강하고 힘을 얻는다고 생각해요."
김씨는 그들에게 "진정한 힘"을 보여주겠다고 말했습니다.
"'저는 슬픈 할머니라는 설정은 쓰지 않을 거라고 약속합니다. 저는 할머니를 그런 식으로 보지 않거든요. 할머니는 영웅이시거든요." 그녀는 그 모임에 이렇게 설명했다.
"그 후로 우리는 가족이 되었습니다."

위험은 큽니다. 너무 위험해서 그 직업에 대한 보험이 없습니다. 그리고 이제 바다와 여성들의 생계가 위협받고 있습니다.
지구 온난화로 인해 해양 생물이 줄어들고 있으며, 특히 얕은 물에서 서식하는 생물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산소가 없으면 더 깊은 곳으로 잠수하는 것도 어려워집니다.
영화의 많은 부분은 일본 후키시마 원전에서 나온 방사능 오염수가 바다(제주도는 일본과 국경을 접하고 있음)로 방출되는 것에 항의하는 여성들의 시위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이로 인해 해녀 중 한 명인 장순덕씨가 제네바에 있는 유엔 인권 이사회에 직접 회부된다.
전문가들은 이번 방출이 안전하며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승인을 받았다는 의견이 압도적으로 많았지만, 과학자들 중에는 그 영향에 대해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 사람도 있습니다.
해녀가 해양 생물을 채취하기는 하지만, 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해 특정 해산물을 채취하는 것을 허용하는 규정이 있습니다.
그들이 산소 탱크를 사용하지 않는 또 다른 이유는 "그들이 숨을 참으면 자연스럽게 수확해야 할 양의 해양 생물을 얻을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라고 김 씨는 설명했습니다. 이는 과도한 어획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더 큰 위협은 내부에서 비롯될 수 있다. 즉, 이 어려운 직업을 선택하는 젊은 여성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는 것이다.
2000년대 초반에 해녀 수가 줄어드는 것을 막기 위해 훈련 학교가 세워졌지만, 이 학교에 다니는 사람 중 해녀가 되는 사람은 5%에 불과했습니다.
하지만 모든 것이 끝난 것은 아닙니다. 이 영화는 소셜 미디어에서 팔로워를 찾은 다른 섬의 두 젊은 여성을 소개하고, 이 직업이 가족 생활에 맞춰 유연한 근무 시간을 제공할 수 있음을 지적합니다. 그들 중 한 명은 30세에 수영을 배워야 이 직업을 할 수 있었습니다.
나이든 여성들은 축제나 시위 때 이들을 만나고, 이들을 "자기 아기"라고 부르고, 이모라고 부르기도 한다.
유사프자이는 영감을 받았습니다. "해녀와 그들이 함께 일하는 모습을 보면, 여성들이 다른 곳에서 하는 집단적 활동을 떠올리게 됩니다. 아프가니스탄 여성들이 자신들이 직면한 체계적 억압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하는 옹호 활동도 포함됩니다."
"소녀가 이 다큐멘터리를 볼 때, 그녀가 자신을 믿고 무엇이든 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닫기를 바랍니다. 그녀는 산소 없이도 2~3분 동안 물속에 있을 수 있습니다."라고 그녀는 말합니다. "그리고 물론 수영을 배우기 위해 수영 수업을 들어야 합니다! 저는 아직 제로 지점에 있지만, 수영을 고려하게 되었습니다."
'해녀의 마지막'은 2024년 10월 11일부터 Apple TV+에서 볼 수 있습니다.